본문 바로가기

콜로키움

삼국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_정호완(제언)

 

삼국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호완(대구대, 삼성현연구소)

0. 먼저 삼국유사아카데미의 출범을 반기며 함께 기립니다. 여러 가지 화두가 있겠지만, 저는 삼국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소박한 말씀을 나누고자 합니다.

1. 연구의 현황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에 따르면, 삼국유사 관련한 연구 논문의 총건수는 8,475건, 단행본은 3,914건, 연구보고서는 366건으로 올라 있습니다. 특히 석-박사 학위 논문이 1.193 건이 됩니다.

1) 먼저 연구 논문으로는, 향가(4,291)-민속(447)-한문학(155)-설화(1,516)-역사(2,935)-언어(584)-콘텐츠(287)-교육(1,120)-유교(545)-건축(301)-미술(490)-불교(2,206)-식민사관(72)-민족사관(4) 등입니다. 그 내용을 보면, 문학-역사-철학은 물론이고 여러 분야에 걸친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다음으로 단행본(3,914)에는 학술 저서는 물론, 만화본이나 영화 대본, 연극 대본 등을 모두 통합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2) 이러한 연구에서 그 분포로 보면, 향가(4,291)-역사(2,935)-불교(2,206)-설화(1,516)-교육(1,120)이 가장 두드러져 보입니다. 향가 연구의 경우, 일제 강점기 일본인 학자 소창진평(小倉進平, Ogura shinpei)가 동경제대에서 <鄕歌及吏讀の硏究(1927)>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에 충격을 받은 당시 한국의 국학계에서는 양주동 박사의 <古歌硏究(1942)>을 필두로 하여 본격적인 향가의 주석과 문장해석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불교 관련해서는 삼국유사를 불교사서로 보는 관점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삼국유사의 찬술자가 일연(一然) 대선사였기에 더욱 그러했을 것으로 봅니다.

고려 고종 때 몽골의 침략으로 땅에 떨어진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자 민족사관에 기반하여 삼국유사와 고려대장경의 증의(證義) 책임자로서 일연은 생애를 마감하고 이를 민족 유산으로 남겨놓았습니다. 국보는 물론이고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이르게 됩니다.

2. 앞으로의 과제

일제의 식민사관이나 중국의 동북공정에 따른 역사 왜곡으로 이를 학문적으로 방어하고 미래지향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하기 위하여 2006년 동북아 역사재단이 정부기관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이 재단은 동북아시아의 역사 문제와 독도 문제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와 전략적 정책 개발을 통해 동북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역사분쟁에 대처하기 위해 설립한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출발하였습니다. 민족사관에 기반한 삼국유사와 관련한 앞으로의 과제를 몇 가지로 상정해 보았습니다.

홍익인간으로부터 발원하는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한 연구에 대한 과제로서,

⓵삼국유사의 연구사 정리와 민족정기를 바르게 지켜 나아감에 있어 ⓶ 삼국유사 관련 단체들의 관계망(network) 구축, ⓷ K-한류의 광맥으로서 콘텐츠 개발, ⓸ 학회지 발간 및 통신 영상을 통한 미디어(youtube) 활동 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저서
일연 평전(삼성현연구소, 2023)
삼국유사사전(지문당, 2019)
깁더 삼국유사(지문당, 2019)
삼국유사의 꿈(지문당, 2013)
삼성현스토리텔링연구(대구대학교, 2010)
우리말로 본 단군신화(명문당, 2004)
가야의 언어와 문화(보고사, 2007)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박이정, 2003)
우리말의 상상력 1-2(정신세계사, 1991)

콘텐츠개발
삼국유사테마파크 아이디어 및 사업 추위(2008-2011)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개발(삼성현연구소, 2010)
삼국유사 TV 운영(삼성현연구소)

수상
경북문화상
삼국유사학술상
한글학회 공로상
시조문학 작가상

※ 삼국유사아카데미 출범특강(2024. 8. 13) 자료집- 정호완 교수의 제언문